
오늘 포스팅에서는 주식시장이 열리고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과 각 거래에 특성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쉬운 설명으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증시 거래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시간과 거래 특성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 보겠습니다^^
장전 시간외 거래 |
08:30 ~ 08:40 (전일 종가로 거래) |
정규 시간 |
09:00 ~ 15:30 |
장후 시간외 거래 |
15:40 ~ 16:00 (당일 종가로 거래) |
시간외 단일가 거래 |
16:00 ~ 18:00 (10분단위로 체결, 당일 종가대비 10% 가격으로 거래) |
장전 시간외 거래 (08:30~08:40)
주식시장 정규 거래는 9시에 시작하는데 정규장이 시작하기 전에 장전 시간의 거래가 있어 장전 시간의 거래는 08:30~08:40 까지 장전 시간외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전 시간의 거래는 전날 종가로 거래를 할 수가 있는데 전날 정규 주식 시장이 마감했을 때 마감한 가격을 뜻합니다.
그래서 당일 주식시장이 시작하기 전에 전날 가격으로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정규시장 거래 (09:00 ~ 15:30)
장전 시간에 거래가 끝나면 9시부터 3시 30분까지 정규 시장에서 거래를 할 수가 있는 시간인데, 9시는 시초가가 결정되는 시간입니다.
시초가 동시호가 거래
시초가는 동시 호가로 결정이 되는데, 동시 호가는 시초가가 결정되기 전까지 들어온 매수 주문, 매도 주문을 합해서 한 번에 거래가 됩니다.
그래서 결정되는 시초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 주문을 넣은 사람은 얼마에 넣었던지 상관없이 시초가로 결정된 가격에 매수가 되고, 시초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를 넣는다면 얼마에 매도 주문을 넣었든지 간에 시초가로 결정된 가격에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시초가가 10,000원에 결정이 될 된다면 내가 12,000원에 매수 주문을 넣었어도 10,000원에 매수를 할 수 있고, 대신에 10,000원보다 아래 가격에 매수 주문을 넣었다면 매수가 되지 않습니다.
매도도 마찬가지로 만약에 시초가가 10,000원에 결정이 된다면 10,000원 이하의 매도 주문을 넣었다면 10,000원에 매도를 할 수 있고, 10,000원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 주문을 넣었다면 시초가에는 매도가 되지 않고 만약 정규장 시간 동안 그 가격까지 상승해 준다면 그때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장 시작과 종료는 정해져 있지만, 랜덤으로 제 각각
정규장 시간은 9시에 시작이 되는데 종목마다 시초가의 결정 시간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언듯 눈치로 알고 있지만 왜 그런지른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목별 시초가는 9시부터 ~ 9시 30초 사이에 랜덤으로 시작하는데, 장의 시작하기 전에는 매수나 매도 주문을 넣어도 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허수성 주문을 넣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래서 시작 시간을 종목별로 매일 랜덤으로 9시부터 ~ 9시 30초까지 언제 시작할지 모르게 시작을 해서 그런 허수성 주문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초가가 결정되면 3시 20분까지는 실시간으로 주식을 사고 팔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3시 20분부터는 동시호가에 들어가게 돼서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동시호가 시간을 거쳐 3시 30분에 종가가 결정되게 됩니다.
종가의 경우도 가와 마찬가지로 동시 호가로 결정되는 가격이기 때문에 3시 30분부터 ~ 3시 30분 30초까지 종목별 랜덤으로 종가가 결정되게 됩니다.
장후 시간외 거래 (15:40 ~ 16:00)
정규장 시간이 끝나면 정규장 종가 가격(당일 종가)을 기준으로 ‘장후 시간외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후 시간의 거래는 3시 40분 ~ 4시까지 당일 종가 가격으로 거래를 할 수 있어 있습니다.
장후 시간의 거래도 장전 시간의 거래와 마찬가지로 매수하려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즉시 매도를 할 수 있고 반대로 매도하려는 사람이 많은 경우에는 즉시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내가 장후 시간에 거래에서 꼭 이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고 싶어 다면 주문이 3시 40분부터 들어가는 게 아니라 종가가 결정된 다음부터 바로 주문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종가가 끝나는 순간에 즉시 매수나 매도 주문을 넣으시면 장후 시간외 거래에 주문이 체결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만약 장후 시간을 거래에서 내가 팔려고 했던 주식이 매수세가 더 많다면 당일 시간외 단일가나 다음 날 아침에 오를 확률이 높으니 팔지 않고 시간외나 다음 날 아침에 더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당일 미국장의 영향을 많이 받으니 이 부분도 같이 참고 하셔야 하고 확률상 높다는 거지 항상 100%는 아니니 이 부분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시간외 단일가 거래 (16:00 ~ 18:00)
장후 시간외 거래가 끝나면 4시 ~ 6시까지는 ‘시간외 단일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전 시간외랑 장후 시간외는 종가 가격으로만 거래를 할 수 있지만 시간외 단일가 거래에서는 종가 가격뿐만이 아니라 당일 결정된 종가에서 +10%에서 -10% 가격까지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간 외 단일가 거래는 10분마다 거래가 됩니다. 예를 들어 4시 10분, 4시 20분, 4시 30분 이렇게 10분마다 6시까지 한 번씩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시간외 단일가 거래도 동시 호가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 시간에 거래되는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 주문을 넣는다면 거래되는 가격에 매수가 되고 매도 주문의 경우에는 결정된 가격보다 더 아래 가격에 매도 주문을 넣는다면 결정되는 가격에 매도 주문이 체결됩니다.
그리고 똑 같이 동시 호가이기 때문에 정확히 4시 10분에 체결되는 게 아니라 4시 10분 ~ 4시 10분 30초 사이에 랜덤으로 체결되게 됩니다.
그리고 시간외 단일가에서 허수성 주문을 넣는 사람들이 많은데 만약 시간의 단일가가 체결되는 시간이 4시 10분 전까지 가격이 많이 올라갈 것처럼 돼 있어 다가 4시 10분 바로 전인 4시 9분 50초가 넘어서 매수 주문을 취소해서 하락하는 종목의 경 허매수가 들어온 종목이어서 그런 종목 같은 경우에는 자기가 주식을 팔기 위해서 허수로 매수를 넣어놓은 경우라서 허매수가 많이 들어온 종목은 계속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허매수가 많이 들어오는 종목은 주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 부분도 100%가 아니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시간외 단일가 가격은 다음 날 정규장 시작하는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데 만약 시간외 단일가에서 3% 정도 상승했다면 정규장 시작할 때도 3% 정도 상승해서 시작할 확률이 높고 하락한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하루 동안 분위기가 바뀌면 종목마다 다를 수 있어 있으니 이 점은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정규장에서 5천원으로 끝난 종목이 있는데 시간외 단일가에서 4,800원으로 마감을 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외 단일가에서 4,800원에 마감을 했기 때문에 다음 날 정규장이 시작할 때 4,800원 정도에 시작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주식 거래 시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주식시장의 시간을 참고해서 매매하시는 데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2024년 한국, 미국 선물 옵션 만기일 – 미국증시 휴장일
📌 은행 금리가 올라가면 주식이 어려운 이유 – 쉬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