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와 차례 차이 뭔가요? – 쉬운 설명


섬네일 타이틀


우리는 보통 설날과 추석에 차례를 지냅니다. 또 누군가 돌아가셨을 때 제사를 지냅니다. 차례와 제사 모두 조상님께 절을 하는 것은 똑같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차례와 제사가 어떻게 다른지 쉬운 설명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사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는 의식으로 우리의 전통 문화로 고려시대 말 유교(성리학)가 들어오면서 우리나라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일부 양반만 제사를 지내다가 차츰 평민도 지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오랫 동안 지금까지 제사가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것은 돌아가신 조상을 잘 모시면 후손들에게 좋은 복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오면서 이런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제사의 종류


제사는 기제사, 차례, 묘제가 있는데 보통 우리가 말하는 제사라고 하면 기제사를 말합니다. 기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기일에 지내는 제사로 보통 조상의 위패를 상 위에 놓아놓고 좋은 음식과 함께 술을 따라 올리는 의식을 치릅니다.

제사에 올리는 음식과 지내는 방식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 다른데 이유는 지역에 따라 생산되는 식재료와 집안마다 형편이 다르고 예법이 달랐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집안의 제사는 함부로 간섭하지 않는 것이 상식이었습니다.

속담 중에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는 속담인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는 이런 배경에서 나온 말이었습니다.








차례

차례는 설날이나 추석과 같이 명절에 지내는 의식으로 기제사와는 다르게 여러명의 조상을 한꺼번에 모십니다. 또한 차례와 제사와의 큰 차이 중 하나는 제사는 밤에 지내지만 차례는 아침에 지내게 됩니다.

차례는 ‘차로 지내는 예’라는 뜻으로 중국에서 온 말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차를 올리지는 않습니다. 원래 차레는 간소하게 음식을 차리는 의식으로 명절뿐만 아니라 절기, 초하룻날 조상의 생일에도 지냈다고 하는데 지금은 설날과 추석에만 지내고 있습니다.


제사와 차례는 집안 형편에 따라 간소하게 지내는 것이 원칙이고 우리나라에서 정해둔 건전가정의뢰준칙에 따르면 제사와 차례는 제사를 지내는 제주에 2대 조상까지 지내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49재 뭔가요? – 유래 뜻 쉬운 설명

📌 삼우제 (三虞祭) 뭔가요? 꼭 지내야 하나요? – 쉬운 설명

📌 🏘️전세상식 꼭 알아야 할 사항 – 확정일자, 대항력, 우선변제권

📌 비행기 기내 반입 금지 품목 – 카톡으로 확인하기

📌 인감도장 일반도장, 막도장 차이 – 쉬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