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파, 비둘기파 뭔가요?
뉴스를 보다 보면 “매파적 발언, 비둘기파도 금리 인상할수 있다” 와 같은 말들을 들을 수 있고 뉴스 기사 제목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뉴스를 보는데 “비둘기파? 매파?” 이게 다 무슨 말이지? 하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매파 비둘기파 이러한 내용들은 이 주식 시장에서 쓰이는 용어 입니다.
FOMC는 여러 명의 연준 위원들이 회의에 참석해서 통화 정책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경기 지표를 보니 경기가 좋으니까 금리를 올리자는 위원도 있을 거고 경기가 침체되어 있으니까 금리를 내리자는 위원도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금리를 올리지 말고 동결하자는 의견도 있을 겁니다.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미국의 통화/금리 정책 결정 및 공개 시장 운영의 방침을 결정하는 곳
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상승하고 있으니까 이걸 누르기 위해서 금리를 올려서 긴축하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을 ‘매파’라고 부릅니다.
반대로 경기가 나쁘다 침체되어 있으니까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부양해보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을 ‘비둘기파’라고 부릅니다.
이 코로나19와 같이 팬데믹이 발생하고 경기가 위축되면서 이 글로벌 경제가 모두 충격을 받았을 때 매파적 성향을 가진 연준 위원들이 모두 비둘기파가 되어서 금리를 0%까지 낮추는 데 적극 찬성했습니다.
이후에 2022년부터 경제 부양을 위한 정책을 너무 열심히 펼쳐서 이제는 인플레이션이 심화된 것 같아 하면서 기준금리를 여러 차례 올렸거든요.
이렇게 매파적 성향 비둘기파적 성향은 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시장 상황에 따라서 개인의 판단에 따라서 바뀌기 때문에 항상 상황에 따른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뉴스를 보실 때 바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매파는 강경파 비둘기파는 온건파 라고 기억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