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뭔가요? – AI 시대, 탄소배출권 논란



최근 많은 기업들이 탄소 배출 권리를 사들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함께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로 했지만,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면서 일종의 ‘비상 대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탄소배출권이란?

탄소배출권은 기업이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정부는 각 기업에 연간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정해줍니다.

  • 허용량보다 적게 배출한 경우 : 남은 탄소배출권을 다른 기업에 팔아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전기차 회사 테슬라는 탄소배출권 판매로 막대한 수익을 올렸습니다.
  • 허용량보다 많이 배출한 경우 : 부족한 만큼 탄소배출권을 다른 기업으로부터 사야 합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예상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여 수천억 원에 달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즉, 탄소배출권은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환경 보호에 동참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탄소배출권을 사는 이유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이 인기를 얻으면서 많은 대기업들이 인공지능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 센터가 많이 필요해졌고, 데이터 센터가 사용하는 전기의 양도 크게 늘었습니다.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량도 함께 증가한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뿐 아니라 구글, 아마존 등 다른 기업들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예상보다 많아질 것 같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를 충분히 생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탄소배출권을 구입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쉬운 해결책으로 떠오른 것입니다. 즉,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예상치 못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를 가져왔고, 기업들은 탄소배출권 구매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습니다.









AI 발전과 탄소 배출, 기업들의 친환경 전략은?

몇 년 전부터 대형 IT 기업들은 “2030년에서 2050년 사이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열풍이 불면서 이 목표를 달성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심지어 구글은 ‘탄소 중립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포기하기로 했습니다.

탄소배출권 거래는 원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기업에게는 보상을, 많이 배출하는 기업에게는 벌칙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 기술에 투자하는 것보다 탄소배출권을 사는 것이 더 쉽고 저렴하기 때문에,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럽연합(EU)은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국가가 유럽으로 수출할 때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세’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금융 전문가들은 탄소배출권 시장을 밝게 전망하고 있습니다. 작년에 전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규모는 약 1,260조 원에 달했습니다. 각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면서 탄소배출권의 가치는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요약하자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이 어려워졌고, 탄소배출권 거래가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지만, 탄소배출권 시장은 앞으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AI 반도체 HBM과 GPU의 관계 – 쉬운 설명

📌 STO (토큰증권발행) 뭔가요? – 쉬운 설명

📌 소형원전 SMR이 뭔가요? – 쉬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