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 KBO 국내 야구 구단, 팀 소개, 설명, 정리

초보자를 위한 : KBO 국내 야구 구단, 팀 소개, 설명, 정리 섬네일 타이틀



야구에 입덕을 하려고 했지만 어떤 팀들이 있는지? 연고지가 어디인지? 등 KBO 팀에 대해서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 하셔서 나만의 팀을 선택해 야구장에서 신나게 응원을 하시길 바랍니다^^




두산 베어스 로고


창단 : 1982년 1월 15일
연고지 : 서울특별시
라이벌리 : LG 트윈스 / SSG 랜더스 / 삼성 라이온즈 / 기아 타이거즈
모기업 : 두산


두산 베어스는 1982년 1월 15일에 창단했으며 KBO리그의 프로야구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창단된 프로야구단 두산 베어스는 서울을 연고지를 삼는 3개의 프로야구단 중 한 팀입니다.

두산 이전의 이름은 OB 베어스로 1982년 창단되었습니다. 창단일 기준 한국 최초의 프로야구단이며 그에 걸맞게 무려 한국프로야구가 열린 1982년 한국 시리즈에서 우승을 했습니다.




1999년 두산그룹은 자사인 OB맥주를 매각함에 따라 구단 명칭을 두산 베어스로 변경하게 됩니다

두산 베어스의 마스코트는 곰이며 한국 최고의 응원 문화 등의 장점이 있는 팀이라고 합니다. 두산은 원년서부터 쟁쟁한 포수들이 많았기 때문에 포수 사관학교라고도 불렸습니다.

마스코트로는 곰을 로봇 캐릭터로 형상화한 철웅이 입니다.


두산 베어스 마스코트 철웅이








키움 히어로즈


창단 : 2008년 3월 24일
연고지 : 서울특별시
라이벌리 : LG 트윈스 / SSG 랜더스
모기업 : 키움증권


키움 히어로즈는 2008년 3월 24일에 창단했으며 서울을 연고지로 삼는 3개의 프로야구단 중 한 팀입니다.

2008년 창단 당시 첫 시범경기를 시작하기 몇 시간 전에야 히어로즈 유니폼이 도착할 만큼 열악한 상황으로 시작하여 2012년까지 5년 동안의 암흑기를 거치며 중하위권을 전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1년 중 포스트시즌의 9회 진출하고 한국시리즈 결승까지 3회 진출하는 등 좋은 성적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2023년은 최하위를 기록 했습니다.

히어로즈는 특이하게도 모기업 없이 구단 자체가 하나의 단일 사업체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히어로즈”라는 구단명만 유지한 채 그 앞에 후원사의 이름을 구단명으로 달아주는 네이밍 스폰서십을 사업모델로 활용하고 있어서 팀명 변경이 상당히 잦았던 편입니다.


히어로즈 변천사




모기업이 없다보니 프로야구 구단 중 가난한 구단에 속합니다. 소위 얘기하는 스몰마켓 팀이라 대형 영입은 거의 없지만 어떻게든 좋은 성적을 내는 걸 보면 정말 경이로울 정도입니다.

키움 히어로즈의 마스코트는 턱돌이, 동글이, 봉도미, 슈퍼 동도미가 있지만 이 중에서는 턱돌이가 가장 유명합니다.


키움 히어로즈 마스코트







LG 트윈스 로고


창단 : 1990년 3월 15일
연고지 : 서울특별시
라이벌리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키움 히어로즈
모기업 : LG


LG 트윈스는 1990년 3월 15일에 창단했으며 서울을 연고지를 삼는 세계의 프로야구단 중 한 팀입니다.

LG 트윈스의 전신은 1982년 창단된 MBC 청룡으로 한국 프로야구 1호 승리 구단이라는 위협을 보유한 팀이기도 했으며 1989년까지 운영되다 당시 이렇게 금성에 인수되어 우리가 아는 LG 트윈스로 변경되었습니다.

1990년 LG 트윈스로 새로운 시작과 동시에 놀랍게도 구단 최초이자 서울 연고팀 최초의 한국 시리즈 우승을 거두게 되는데 심지어 전승 우승이었다고 합니다.

2003년부터 10년 이상 가을 야구에 진입하지 못하고 부진한 성적을 이어가며 2012년까지 기나긴 암흑기가 시작 됩니다.




길었던 암흑기를 탈출한 LG는 2013년 이후 10년 동안 8번의 가을 야구에 진출하며 상위권 팀으로 안착하던 중 2023년 드디어 정규리그 우승과 한국 시리즈에서도 우승하며 29년만의 통합 우승을 차지하게 됩니다.

LG 트윈스의 마스코트는 러키와 스타입니다. 두 캐릭터 이름은 LG그룹의 과거 명칭인 럭키 금성에서 따온 듯한 이름 같습니다.


LG 트윈스 마스코트








KT위즈 로고


창단 : 2013년 1월 17일
연고지 : 경기도 수원시
라이벌리 : SSG 랜더스
모기업 : KT


KT 위즈는 2013년 1월 17일에 창단했으며 연고지는 경기도 수원시입니다. 역대 네 번째 신생팀이자 본격적으로 KBO리그 10구단 체제를 연 구단입니다.

KT 위즈의 창단은 먼저 2011년 NC 다이노소가 제 9단으로 창단되면서 2012년 들어 자연스레 제 10구단의 창단으로 흐름이 시작 됩니다. 이 10구단의 승인 과정에서 여러가지 잡음이 있었으나 결국 승인된어 수원과 KT가 선정됨에 따라 2013년 KT 위즈가 창단 됩니다.

팀명은 공모전을 통해 2013년 5월 7일 발표되었다고 하며 Wizard 마법사에서 따온 말이라고 합니다.




창단 후 2년 간의 퓨처스리그를(2군 리그) 거쳐 2015년 1군 무대에 올라온 이후 4년간은 하위권을 전전하며 고전했으나 2019년 6위로 첫 중위권 달성하며 도약을 준비하였고 2020년부터 떡상한 경기력을 기반으로 가을 야구에 진입하더기 2021년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차지하게 됩니다.

창단 후 9년, 1군 무대에 올라온 지 7년만에 우승하여 이후에도 좋은 성적으로 강팀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2023년에도 준우승을 달성했습니다.

팀의 마스코트 빅과 또리가 귀엽다는 평들이 많다고 합니다.


KT위즈 마스코트








SSG 랜더스


창단 : 2000년 3월 31일
연고지 : 인천광역시
라이벌리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KT 위즈
모기업 : 이마트


SSG 랜더스는 2000년 3월 31일에 창단했으며 연고지는 인천광역시입니다.

SSG 랜더스의 전신은 1990년 창단한 쌍방울 레이더스를 기반으로(승계는 아님) 시작한 SK 와이번스로 거슬로 올라 갑니다. SK 와이번스는 6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과 총 4회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기록한 강팀이었지만 2021년 모기업인 SK텔레콤에서 매각을 결심하게 되고 이마트가 인수하면서 SSG 랜더스가 되었습니다.




창단 첫해인 2021년 6위를 하였고 2022년 정규시즌 개막부터 종료까지 144경기를 치르는 동안 한 번도 1위 자리를 내어주지 않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달성하고 한국시리즈에서도 우승하며 통합우승을 기록하게 됩니다. 2023년에도 3위라는 높은 성적으로 마무리 했습니다

*와이어 투 와이어 : 시즌 내내 1위자리를 한번도 내주지 않고 우승하는 것


팀의 마스코트는 랜더스 선수와 팬에게 용기와 사랑을 주는 랜디 입니다.

SSG랜더스 마스코트








한화 이글스 로고


창단 : 1986년 3월 8일
연고지 : 대전광역시
라이벌리 : –
모기업 : 한화


한화 이글스의 전시는 빙그레 이글스로 1986년 충청도를 연고로 하는 7번째 구단으로 창단되었습니다. 사실 이때도 모기업은 하나였지만 좀 더 친근함을 위해 그룹 계열사 중 하나였던 빙그레의 이름을 사용한 것이라고 합니다.

1993년 시증 종류 후 모 기업인 한화그룹이 상속 분쟁으로 인해 빙그레가 한화에서 이탈하여 자연스럽게 야구단 운영에서 손을 떼게 되었고 한화 이글스로 구단 명의 변경되었습니다.

세기말이였던 1999년 창단 14년 만에 한국시리즈 첫우승을 달성하였습니다. 2008년 부터는 암흑기가 시작되는데 2017년까지 무려 10년 동안 가을 야구를 하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해탈한 보살 한화 팬의 이미지는 이때 연패시절 보살탈을 쓴 관종관중 한명 때문이란 이야기가 있습니다. 실제 한화팬주에는 보살이미지를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암흑기를 이어오던 중 기적처럼 2018년 정규시즌 3위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면서 드디어 암흑기가 끝나나 했지만 다시 2023년까지 5년 동안 9위 2번, 10위 3번이라는 부진한 성적으로 팬들의 슬픔이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마스코트는 비니, 수리, 후디, 위니가 있습니다.


한화 이글스 마스코트








기아 타이거즈 로고


창단 : 1982년 1월 30일
연고지 : 광주광역시
라이벌리 : 삼성 라이온즈 / 롯데 자이언츠 / LG 트윈스
모기업 : 기아


해태 타이거즈 시절은 그야말로 전설의 팀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엄청난 강팀이었습니다. 2001년 기아로 변경되기 전 1982년 부터 시작된 한국 프로야구 20년 역사 중 12번의 포스트 시즌 진출, 9번 한국시리즈에 올라가서 9번 우승을 했을 정도로 한국 프로야구의 절대강자로 군리했었습니다.

하지만 모기업인 해태가 1998년 IMF 여파로 부도가 나며 해태 타이거즈는 지원은 꿈도 못 꿀 상황에서 어떻게든 야구단 운영을 위해 선수들을 모조리 팔아치우며 버티다가 2001년 기아가 인수하며 기아 타이거즈로 새 출발을 하게 됩니다.




기아 타이거즈로 변경 후 가을야구에는 4회 진출하는 등 나름 선전하였지만 염원하던 한국시리즈 우승은 달성하지 못하고 8년이 지나 2009년에 드디어 창단 후 최초로 우승을 달성하게 됩니다.

2010년대 이후 기아타이거즈의 성적은 2012년부터 2023년까지 우승했던 2017년을 제외하고 한번도 5위 이상을 올라가지 못하고 있어 팬들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습니다.

명목상 연고지는 광주광역시로 국한되지만 실질적으로는 호남 지방 전체를 대표하는 구단입니다.

팀의 마스코트는 호걸이와 호연이, 아기 백호 하랑이 입니다.


기아 타이거즈 마스코트








NC 다이노스


창단 : 2011년 3월 31일
연고지 : 경상남도 창원시
라이벌리 : 롯데 자이언츠 / LG 트윈스 / KT 위즈
모기업 : NC 소프트


NC 다이노스는 2011년 3월 31일에 창단했으며 연고지는 경상남도 창원시입니다.

NC 다이노스의 시작은 프로야구 협회가 리그의 안정적인 진행을 위해 9, 10구단 창단을 추진하던 중 평소 야구에 관심이 많던 NC소프트의 김택진 대표가 야구팀 창단을 결심 후 2011년 창단하게 됩니다.




2018년은 10위를 기록하며 암흑기가 찾아오나 했지만 2019년 5위를 기록하고 대망의 2020년, 무시무시한 포스를 보여주며 정규시즌 우승과 함께 한국시리즈 우승도 거머쥐며 최고의 시즌을 보내게 됩니다.

마스코트는 유격수인 단디와 투수인 쎄리 입니다.


엔씨 다이노스 마스코트








삼성 라이온즈 로고


창단 : 1982년 2월 3일
연고지 : 대구광역시
라이벌리 : 롯데 자이언츠 / KIA 타이거즈 / 두산 베어스
모기업 : 삼성 제일기획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2월 3일에 창단했으며 삼성그룹의 시작지인 대구 경북 지역을 연고로 정했습니다. 창단부터 막강한 재력을 바탕으로 준 국대급 전력을 확보하고 시작했다고 합니다.

한국 프로야구 출범 후 줄곧 강팀으로 분류되었으며 바뀐 규정으로 인해 포스트시즌이 없었던 1985년에 압도저인 승률(0.706)로 최초 우승을 달성하게 됩니다.

이후에도 강팀의 이미지를 잘 고수하던 삼성이었지만 이상하게도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2002년 21년 만에 우승을 하게 됩니다.




2002년 우승 이후 삼성의 포스는 어마어마했으며 2015년까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게 단 한 번밖에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2016년부터 기나긴 암흑기가 시작되어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마스코트로 아빠인 BLEO, 엄마인 PINKLEO, 딸 LENNY, 아들 LAON 입니다.


삼성 라이온즈 마스코트








롯데 자이언츠 로고


창단 : 1975년 5월 6일
연고지 : 부산
라이벌리 : NC다이노스 / KIA 타이거즈 / 삼성 라이온즈
모기업 : 롯데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5월 6일에 창단했으며 연고지는 부산광역시입니다.

프로야구 출범 전 실업 야구팀으로 1975년 창단되었습니다. 1982년 프로야구단으로 전환하며 연고지를 부산으로 정했고 대표선수 최동원 투수의 하드캐리로 1984년 최초로 우승을 했습니다.

1984년 우승 이후 결코 중위권에 머물지 않고 상위권 혹은 하위권을 오르락 내리락하던 중 드디어 1992년 2번째 우승을 하게 됩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이 우승이 마지막이었는데 현존하는 프로야구 구단 중 마지막 우승 연도가 가장 오래된 팀이라고 합니다.

2001년부터 2007년까지 롯데의 암흑기가 시작되었는데 7년 간 하위권을 전전하며 부진한 성적으로 경기 중 분노한 팬들이 현수막을 걸기도 했습니다. 또한 슬픈 일화로 야구를 하도 못해서 관중이 없어 외야 응원석에서 자전거를 타기도 했다는 인터넷 짤도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암흑기는 2008년 제리 로이스터 감독을 영입하고 나서야 비로소 끝나게 되는데 이천시 이 년까지 무려 5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쾌거를 거두기도 했지만 우승은 아쉽게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의 최근 성적은 2017년 3위를 기록하며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해를 제외하고 2013년부터 2023년까지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워낙 팬이 많은 구단이다 보니 현장 집권 응원을 갈 경우 매우 열광적인 응원 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팀의 새로운 마스코트인 위지와 누리, 아라, 피니가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 마스코트 위지


롯데 자이언츠 마스코트 누리, 아라, 피니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초보자를 위한 : 야구장 전광판 보는법 – 쉬운 설명

📌 초보자를 위한 : 야구장 전광판 보는법 – 쉬운 설명

📌 테니스 스쿼시 차이 다른점 – 아주 쉬운 설명

📌 쉬운설명 :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차이 – 몸에 미치는 영향

📌 쉬운설명 : 청약통장이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