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금리가 올라가면 주식이 어려운 이유 – 쉬운 설명


은행 금리가 올라가면 주식이 어려운 이유 - 쉬운 설명 섬네일 타이틀


2020년 부터 2, 3년간 주식 투자 한창 하셨던 분들 요즘 들어서 ‘주식 이거 진짜 안 풀리네!!!’ 라는 생각 많이들 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은 기준금리가 많이 빨리 올라가서 그런 겁니다. 우리가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을 감수 하면서 주식 투자를 하는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해서 입니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많이 오르게 되면 어려운 주식 투자를 굳이 하지 않고 은행의 예금ㆍ적금에만 돈을 넣어놔도 높은 금리로 이자가 쏠쏠해 집니다.


돈의 흐름


*기준금리 : 한국은행이 정하는 모든 금리의 기준을 말합니다.



은행의 예금ㆍ적금은 원금이 보장이 되는 안전자산 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손해가 없이 돈을 넣어 놓기만 해도 되는 즉, 원금이 보장이 되는 은행 예금, 적금으로 주식 투자를 했던 돈을 은행으로 넣게 됩니다.





주식시장에 몰려 주식의 상승을 이끌었던 돈이 은행권으로 몰리게 되면서 주식투자의 인기가 사그라 들게 되는데 뭐든지 인기가 사그라들면 가격도 내려가기 마련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몰려 있던 돈이 빠져나가면서 기업들의 주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물론 경기 자체도 안 좋아지기도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통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돈의 흐름이 주식시장에서 빠져 나오기 때문에 주식은 반대로 움직여서 주가는 떨어지고, 금리가 내려가면 다시 주식 시장으로 돈이 몰리기 때문에 주가는 올라가게 됩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 CBDC 뭔가요? – 아주 쉬운 설명

📌 공매도 뭔가요? – 아주 쉬운 설명

📌 세무조사가 뭔가요? (쉬운 설명)

📌 초보 부린이 입문자용 – 부동산 책 2권 추천

📌 2024년 한국, 미국 선물 옵션 만기일 – 미국증시 휴장일